전체 글153 RS485 1:N 통신 오늘은 RS485 통신에서 1:N 통신을 구현하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RS485는 여러 장치가 하나의 통신 라인을 공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어, 산업 현장이나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어요.이번 글에서는 RS485로 마스터 장치 1개와 슬레이브 장치 2개가 통신하는 예제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차근차근 따라와 주세요! RS485 통신이란? RS485는 여러 장치가 하나의 통신 선로를 공유하여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표준입니다.RS485는 차동 신호 방식을 사용해서 긴 거리에서도 신호가 안정적으로 전송되도록 하고, 1:N 통신을 통해 하나의 마스터가 여러 슬레이브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어요.마스터는 특정 슬레이브와만 데이터를 주고받도록 주소 체계를 사용해 통신합니다.1:N 통.. 2025. 4. 21. ChatGPT에 '라이브러리' 기능 생긴 거 모르고 그냥 넘기면 생긴 이미지 다 잃어버립니다 최근 ChatGPT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라이브러리(Library)’라는 메뉴가 생긴 거, 눈치채셨나요?이 기능은 특히 DALL·E를 이용해 이미지를 만들거나, 파일을 업로드해 대화 중 사용한 분들에게 굉장히 유용한 보물 창고입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이 이걸 그냥 무심코 지나치더라고요.📁 ChatGPT 라이브러리란?‘라이브러리’는 ChatGPT에서 생성한 이미지, 업로드한 파일 등을 자동으로 저장하고 정리해 주는 공간입니다. 사용자가 따로 저장하지 않아도, 이미지 생성만 하면 자동으로 이 메뉴에 모아져요.✨ 자동 저장: 이미지 생성하면 바로 보관🔍 다시 보기 쉬움: 과거 이미지 목록 한눈에 확인⬇️ 다운로드 가능: 재사용도 편리함 (특히 블로그용 이미지로 딱!)❓ 어떤 콘텐츠가 저장되나요?현재 기준으.. 2025. 4. 19. MCP 서버, 지금이 배워야 할 타이밍입니다 요즘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핫한 주제, 바로 MCP 서버입니다. Google Trends에서 검색량이 폭발하고 있는 이 기술, 앞으로 몇 개월 안에 개발자로서 꼭 알아야 할 핵심 스킬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은 MCP란 무엇인지,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리고 직접 MCP 서버를 구축하고 AI 앱(CLA, CSOR 등)과 연동하는 방법까지 전부 알려드릴게요. 🧠 MCP란? (Model Context Protocol)MCP(Model Context Protocol)는 Claude를 만든 Anthropic이 제안한 AI 시스템 간 통신 표준입니다. 쉽게 말해, AI 애플리케이션이 외부 시스템이나 데이터를 연결할 때 매번 새로운 구현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만들어진 ‘USB-C 포트’ 같은 표준이죠.기존 문제-.. 2025. 4. 18. 디바운싱(Debouncing)이란? - 버튼 입력의 정확도를 높이는 핵심 개념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입력 장치 중 하나가 버튼(Switch)입니다.단순해 보이는 버튼 입력도 실제로는 노이즈와의 전쟁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그 이유는 바로 디바운싱(Debouncing) 때문입니다.디바운싱이란?디바운싱(Debouncing)은 버튼을 누르거나 뗄 때 발생하는 불필요한 신호의 변동, 즉 스위치 접점이 떨리는 현상(bounce)을 제거하는 처리 과정입니다.스위치를 누르면 단순히 한 번 눌리는 것 같지만, 전기적 신호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여러 번 ON/OFF를 반복하며 튕기듯 전달됩니다.이 상태에서 프로그램이 그대로 신호를 처리한다면, 버튼을 한 번 눌렀음에도 여러 번 눌린 것처럼 인식할 수 있죠.왜 디바운싱이 필요할까?정확한 입력 감지 : 여러 번 눌렸다고 인식되는 오류.. 2025. 4. 17. 고정소수점 연산: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빠르고 정확한 연산 방법 고정소수점 연산이란? 고정소수점 연산(Fixed-Point Arithmetic)은 소수점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실수를 표현하고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부동소수점 연산(Floating-Point Arithmetic)과 대조됩니다. 부동소수점은 소수점의 위치가 가변적이지만, 고정소수점은 소수점 이하의 자릿수가 고정된 구조로, 정수와 같은 방식으로 연산을 처리합니다.고정소수점 방식은 주로 임베디드 시스템이나 DSP(디지털 신호 처리) 등 성능과 메모리 효율이 중요한 환경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소수점의 위치를 고정하여 연산을 단순화하고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고정소수점 연산의 장점높은 성능 : 고정된 소수점 위치로 인해 계산이 단순화되어 하드웨어 연산 속도가 빨라집니다. 이는 임베디드 .. 2025. 4. 16. ASCII 코드 완전 정복, 컴퓨터와 대화하는 첫걸음 안녕하세요, 여러분! 컴퓨터와 소통하는 데 기본이 되는 ASCII 코드에 대해 들어보셨나요?오늘은 컴퓨터가 문자와 숫자를 어떻게 표현하는지 알려주는 ASCII 코드표에 대해 알아보려 해요.초보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볼게요!1. ASCII 코드란?ASCII(아스키) 코드는 컴퓨터가 문자, 숫자, 기호 등을 이해하고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준 코드입니다.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의 약자인데요, 쉽게 말하면 컴퓨터가 사람의 언어를 이해하기 위해 만든 숫자 기반의 언어라고 할 수 있어요.컴퓨터는 모든 데이터를 0과 1의 이진수로 처리합니다.그런데 사람의 언어를 그대로 0과 1로 처리하기는 어려우니까, 이를 해결하기 위해 ASCI.. 2025. 4. 15. 이전 1 2 3 4 5 ··· 2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