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1

[C언어] visual studio 기본 사용법 - 빌드 단축키 : F7 - 오류 위치 찾기 단축키 : F4 - 위치 중단점(Break Point) : 해당 행에서 F9 - 실행 : Ctrl + F5 / 디버그모드 실행 : 그냥 F5 - 메모리 창 : Ctrl + Alt + M -> 1 ~ 4 선택 2020. 9. 24.
[C언어] #include 의 " " 와 < > 의 차이 #include #include "aaa.h" - 은 standard library header에 사용 - " " 은 user defined header에 사용 2020. 9. 23.
[ATmega128] LED right shif * 목표 : LED Left right shift #define F_CPU 16000000UL // 16MHz #include #include int main(void) { char i; DDRA = 0xFF; while (1) { for(i = 0; i > i; _delay_ms(100); } } } #define F_CPU 16000000UL // 16MHz #include #include int main(void) { char i; DDRA = 0xFF; while (1) { for(i = 0; i > i); _delay_ms(100); } } } 2020. 9. 23.
[C언어] 변수 int형의 크기는 4바이트이므로 100 ~ 103번지를 하나로 묶어서 해석. 변수의 이름은 위의 4바이트 메모리를 nData라는 이름 부여 => nData에 10을 넣으라는 명령은 100 ~ 103번지의 메모리에 10을 저장하라는 뜻 10을 32비트로 맞추면 0x0000000A => 메모리에 00 00 00 0A 로 나누어 저장 * 메모리에 값을 저장하는 두 가지 경우 1) Big endian 방식 2) Little endian 방식(intel x86계열 CPU 사용 방식) ** 특정 영역의 메모리는 운영체제가 사용하고 있다. - 0 번지를 시작으로 64KB만큼의 메모리는 운영체제가 사용. - 이 주소의 메모리를 읽거나 쓰려는 접근이 있을 경우, 프로그램 비정상적 종료 ** 스택이든, 힙이든, 실행 코드.. 2020. 9. 23.
[C언어] 상수의 종류 * 문자 상수 - C언어로 프로그램을 만들 때 볼 모든 문자의 실체는 아스키 코드에 대응하는 어떤 숫자라고 인지할 것!! #include void main() { char ch = 'A'; } - [ char ch = 'A'; ] 라는 코드는 자료형이 char형인 변수를 선언, 영문자 A로 초기화하라는 의미 - 그냥 A라고 작성하면 의도하지 않은 연산 이루어질 수 있으니 주의! - 'A' 대신 "A" 라고 작성하면 문자 상수가 아니라 문자열 상수 A가 되므로 주의! - C언어에서 영문 한 글자를 저장하기 위한 8비트 자료형으로는 char와 unsigned char가 있다. char 는 주로 영문자 한 글자를 저장하는 데 사용 unsigned char형은 문자 저장보다는 1바이트 크기의 메모리라는 의미로서.. 2020. 9. 22.
[ATmega128] LED Left shift * 목표 : LED Left shift 회로도 1 #define F_CPU 16000000UL // 16 MHz #include #include // int main(void){ char i; DDRA=0xFF; while(1){ for(i = 0; i < 8; i++) { PORTA = 0x01 2020. 9.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