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신러닝4 Numpy의 뷰(View) : 데이터 슬라이싱의 숨은 비밀 데이터 분석과 머신러닝에서 Numpy는 필수적인 도구입니다.특히, 배열 데이터를 다룰 때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많습니다.그중에서도 슬라이싱(Slicing)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오늘은 Numpy에서 슬라이싱으로 생성되는 뷰(View)와 복사(Copy)의 차이를 쉽게 설명하고,이를 실제로 활용하는 방법을 공유하겠습니다.1. 뷰(View)란 무엇인가?Numpy에서 배열을 슬라이싱하면 새로운 배열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원본 배열의 일부를 참조하는 뷰가 반환됩니다.뷰(View) : 원본 배열의 데이터를 공유하며, 수정하면 원본 배열에도 영향을 미칩니다.복사(Copy) : 원본 배열의 데이터를 복제하여 새로운 배열을 생성합니다. 복사본을 수정해도 원본 배열에는 영향을.. 2025. 4. 25. ChatGPT에 '라이브러리' 기능 생긴 거 모르고 그냥 넘기면 생긴 이미지 다 잃어버립니다 최근 ChatGPT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라이브러리(Library)’라는 메뉴가 생긴 거, 눈치채셨나요?이 기능은 특히 DALL·E를 이용해 이미지를 만들거나, 파일을 업로드해 대화 중 사용한 분들에게 굉장히 유용한 보물 창고입니다. 그런데 많은 분들이 이걸 그냥 무심코 지나치더라고요.📁 ChatGPT 라이브러리란?‘라이브러리’는 ChatGPT에서 생성한 이미지, 업로드한 파일 등을 자동으로 저장하고 정리해 주는 공간입니다. 사용자가 따로 저장하지 않아도, 이미지 생성만 하면 자동으로 이 메뉴에 모아져요.✨ 자동 저장: 이미지 생성하면 바로 보관🔍 다시 보기 쉬움: 과거 이미지 목록 한눈에 확인⬇️ 다운로드 가능: 재사용도 편리함 (특히 블로그용 이미지로 딱!)❓ 어떤 콘텐츠가 저장되나요?현재 기준으.. 2025. 4. 19. MCP 서버, 지금이 배워야 할 타이밍입니다 요즘 개발자 커뮤니티에서 핫한 주제, 바로 MCP 서버입니다. Google Trends에서 검색량이 폭발하고 있는 이 기술, 앞으로 몇 개월 안에 개발자로서 꼭 알아야 할 핵심 스킬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은 MCP란 무엇인지, 어떻게 동작하는지, 그리고 직접 MCP 서버를 구축하고 AI 앱(CLA, CSOR 등)과 연동하는 방법까지 전부 알려드릴게요. 🧠 MCP란? (Model Context Protocol)MCP(Model Context Protocol)는 Claude를 만든 Anthropic이 제안한 AI 시스템 간 통신 표준입니다. 쉽게 말해, AI 애플리케이션이 외부 시스템이나 데이터를 연결할 때 매번 새로운 구현을 하지 않아도 되도록 만들어진 ‘USB-C 포트’ 같은 표준이죠.기존 문제-.. 2025. 4. 18. CNN(합성곱 신경망) 이미지의 경우 인접 변수(픽셀)간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다.(spatially-local correlation) 이미지의 부분적 특성(예, 눈/귀)은 고정된 위치에 등장하지 않는다.(Invariant feature) --> 데이터 특성을 반영하는 모델을 구성하면 성능 향상되지 않을까?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CNN) = convolutional filter + neural networks - 참고 블로그 https://keeper.tistory.com/5?category=935058 CNN[합성곱 신경망] 개념, 모델구조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은 딥러닝에서 주로 이미지나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때 쓰이며 이름에서 알 수 있다시피 .. 2023. 10. 31. 이전 1 다음